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함수 오버로딩
- 신한은행 퀴즈
- default parameter
- C++
- Reference
- 현대 리바트 드비저리
- 신한sol뱅크 쏠퀴즈
- USB 부팅 디스크
- 마운틴 라이언 클린 설치
- h point 퀴즈
- h point 퀴즈 4월 11일
- 디폴트 매개변수
- 참조자
- function overloading
- VMware
- 자식클래스
- 신한슈퍼sol 출석퀴즈
- 상속
- SAP
- abap
- New & Delete(동적할당)
- 맥북 프로
- 앱테크
- h point 퀴즈 4월 12일
- 신한은행 퀴즈 4월 12일
- 가상머신
- 부모클래스
- jQuery
- 신한sol페이 퀴즈팡팡
- IS-A
- Today
- Total
IT스러운 공간
ZFlip 4 힌지 수리 과정 본문
애플빠인 내가 폴더폰 때문에 삼성으로 넘어와 1년 10개월 동안 나름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었다
플립은 액정이 약하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내가 겪기 전까지는 힌지 고장으로 폰이 다 펴지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못들었다
전조증상으로는 접다 폈다 했을 때 예전 모토로라 스타텍 폴더 접는 소리가 났는데 그것도 모르고 느낌이 너무 좋아서 계속 펴고 접고 했었는데
그러다가 퇴근할 때 한번 펴고 접고 주머니에 넣은 다음 다시 휴대폰을 꺼내고 열었는데 아니 웬걸 폰이 안 펴지더라...
그 뒤로 폭풍검색으로 서비스 센터의 담당자에 따라서 무상수리 / 유상수리로 나뉜다고 해서 혹시 몰라 서비스센터에 찾아갔다.
서비스 센터 담당자는 내 휴대폰 받자마자 힌지 부분을 보더니 기스가 나서 유상수리로 처리된단다. 수리비는 37만원 정도 나온다더라
하.. 아직 2년이 안됐는데도 이건 유상수리 처리 된다고 해서 생각해보겠다고 나중에 오겠다고 하고 나왔다.
어느 블로그에서 폴더 힌지 사이에 먼지 유입 방지를 위해 카펫 제질의 부품이 붙여져 있는데 그게 접착제가 떨어지면서 힌지 부분에 말려 들어가서 안펴진 경우가 있다며 그걸 빼냈더니 잘 펴졌다는 내용을 봤다.
내꺼의 플립도 그렇게 될 줄 알았건만 블로그에서 말했던 내용과는 좀처럼 되지 않았다.
이제 선택의 시간! 그동안 아이폰 액정 수리 및 배터리 교환으로 다져온 실력으로 밑져야 본전이지 생각하며 자가 수리 진행하기로 마음 먹었다.
수리 과정은 여러 개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숙지함. 동영상은 z플립3 분해 영상이 많이 나오지만 그걸로 봐도 충분히 z플립4를 분해할 수 있다.
알리에서 부품을 구매한다.
- z플립4 샤프트 F721 11,900
- 스크린용 후면 접착제
유튜브 동영상 보면서 휴대폰을 분해한다. 후면에 붙어있는 판이 쉽게 떨어지지 않아 드라이기로 오랜시간 가열을 했다. 뒷판만 열면 부품 분해는 어렵지 않다
대망의 액정 분리 작업이 남았다. Z플립 분해를 안하는 이유는 얇은 액정 때문에 쉽게 고장이 나기 때문에 서비스센터에서는 시간 대비 공임비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액정 분리할 때도 접착제가 잘 떨어질 수 있도록 드라이기로 열심히 열을 가했다. 나름 액정이 잘 분리됐고, 힌지 부품을 수리 할 수 있었다.













위의 사진이 힌지 부품의 일부분이고 먼지 유입 방지 부품이 말려들어가 있는 걸 확인했다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한다


완벽하게 펴진 모습이다.
역순으로 다시 조립하여 휴대폰을 켰지만 망… 액정이 안들어온다. 앞에 작은 액정에는 시계가 나와 정상적으로 휴대폰이 켜진 걸 확인 할 수 있었으나
큰 액정는 내 마음을 대변하듯이 시꺼면 화면만 보일 뿐이었다.
결국엔 서비스센터에서 수리했다. 수리 기사님께 내가 수리했던 사진을 보여줬는데 정말 수리 잘했다며 칭찬을 해주셨다. 아 액정만 잘 분리할 수 있었으면 돈 아끼는거였는데
자가 수리 부품 구매 비용까지 해서 총 403,000 이었다.
뭐 아주 비싼 경험 했다고 생각하고 다음에 고장날 경우엔 그냥 수리하기로 마음 먹었다.
결론은 z플립 안펴지는 강력한 이유는 먼지 유입 방지 부품이 접착력이 떨어져 힌지에 말려들어간 것이다.
Z플립 구매 예정인 분들은 참고 바라시길..
'IT 지식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에서 Log 기록 시 System.out.print를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0) | 2016.02.23 |
---|---|
Apache와 Tomcat의 역할 (0) | 2016.02.01 |
WAS와 웹서버의 차이 – 톰캣과 아파치를 구별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0) | 2016.02.01 |
java.util.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0) | 2016.01.18 |
java.sql.SQLException Io exception: Connection reset (0) | 2016.01.15 |